반응형 전기기사35 조명 내용 정리 2 / 2 백열전구의 장점 · 역률이 좋음 · 연색성 우수 · 안정기가 불필요하며, 기동시간이 짧음 · 램프의 점등 방식이 간단 · 가격이 저렴 백열전구에 플리커 현상이 생기는 이유 · 조광 상태에서 필라멘트의 온도가 저하하는 경우 ·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사인파가 아닌 경우 형광등이 백열전구에 비하여 장점 · 효율이 좋음 · 긴 수명 · 필요로 하는 광색을 쉽게 얻을 수 있음 · 열방사가 적음 형광등이 백열전구에 비하여 단점 · 점등에 시간이 걸림 · 부속장치가 필요하며 고가 · 깜빡거림이 생기기 쉬움 · 역률이 나쁨 · 온도 영향을 받음 슬림라인 형광등의 장점 · 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 등 기동장치가 불필요 · 순시기동으로 점등에 시간이 안 걸림 ·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.. 2021. 1. 6. 조명 내용 정리 1 / 2 광속 · 방사속 중 빛으로 느끼는 부분, F [lm] 광도 · 광원에서 어떤 방향에 대한 단위 입체각으로 발산되는 광속, I [cd] 조도 · 어떤 면의 단위 면적당의 입사 광속, E [lx] 휘도 · 광원의 임의의 방향에서 바라본 단위 투영 면적당 광도, B [sb] or [nt] 광속발산도 · 광원의 단위 면적으로부터 발산하는 광속, R [rlx] 전등효율 · 전력소비에 대한 전발산 광속의 비율 발광효율 · 방사속에 대한 광속 F의 비율 색온도 · 어느 광원의 광색이 어느 온도의 흑체의 광색과 같을 때 그 흑체의 온도 연색성 · 빛의 분광 특성이 색의 보임에 미치는 효과를 말하며, 동일한 색을 가진 것이라도 조명하는 빛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특성 감광보상률 · 조명설비.. 2021. 1. 6. 접지 내용 정리 3 / 3 고조파 전류의 발생원인 · 변압기, 전동기 등의 여자전류 · 컨버터, 인버터, 쵸버 등의 전력변환장치 · 전기로, 아크로 · 전기 용접기 · 송전 전로의 코로나 고조파 방지 대책 · 전력변환장치의 펄스 수를 크게 한다. ·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 · 전력용 콘덴서에는 직렬리액터 설치 · 선로의 코로나 방지 위해 복도체, 다도체 사용 · 변압기에서 △결선을 사용하여 고조파 제거 · 고조파 발생기기와 충분한 이격거리 확보 및 차폐 케이블 사용 · 고조파 발생기기와 접지를 분리 회로의 전압은 주로 변압기의 자기 포화에 의하여 변형이 일어나는데 (진상 콘덴서)를 접속함으로써 이 변형이 확대되는 경우가 있어 전동기, 변압기 등의 소음 증대, 계전기의 오동작 또는 기기의 손실이 증대되는 등의 장해를 일으키.. 2021. 1. 6. 접지 내용 정리 2 / 3 X선 발생장치의 변압기 및 콘덴서 금속제 외함 · 제3종 접지공사 고압용 기계 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 · 제1종 접지공사 고압/특고압 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 또는 그 1단자 · 제2종 접지공사 자가용 설비의 중요검사 · 절연저항시험 · 접지저항시험 · 절연내력시험 · 계전기 동작 시험 · 외관검사 · 계측장치 설치 상태 검사 · 절연유 내압시험 및 산가 시험 전력케이블의 고장점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 · 머레이루프법 · 정전용량법 · 펄스측정법 · 수색 코일법 · 음향에 의한 방법 지중 케이블의 사고점 측정법과 절연감시법 · 사고점 측정: 머레이루프법, 정전브리지법 · 절연 감시법: 메거법, 탄젠트법 지중 케이블의 고장점 탐지법과 사용 용도 · 머레.. 2021. 1. 6. 접지 내용 정리 1 / 3 대지전압 · 접지식: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전압 · 비접지식: 전선과 그 전로 중 임의의 다른 전선 사이의 전압 접지 목적 · 누전에 의한 감전 방지 · 기기의 손상 방지 · 보호 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· 이상 전압의 억제 접지의 개소 · 일반기기 및 제어반 외함 접지 · 피뢰기 접지 · 피뢰침 접지 · 옥외 철구 및 경계책 접지 · 케이블 실드선 접지 계통 접지와 기기 접지에 대한 접지 목적 · 계통 접지: 고압 전로와 저압 전로가 혼촉 되었을 때 감전이나 화재 방지 · 기기 접지: 누전되고 있는 기기에 접촉 시 감전방지 공통 접지의 장점 · 접지극의 연접으로 합성저항의 저감 효과 · 접지극의 연접으로 접지극의 신뢰도 향상 · 접지극의 수량 감소 · 계통 접지의 단순화 · 철근, 구조물 등을 연접하면 거.. 2021. 1. 6. 전선로 내용 정리 2 / 2 전기기사 단답 공부는? https://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/ Pacho's Web 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 보호계전기 기억작용 ·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 전의 전기량을 계전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Mho형 거리 계전기에 사용 변전소의 주요기능 · 전압의 변성과 조정 · 전력의 집중과 분해 · 전력 조류의 제어 · 송배전선로 및 변전소의 보호 전력설비 점검 시 보호계전 계통의 오동작 원인 · 보호 계전기의 허용 범위를 초과한 온도 · 높은 습도에 의한 절연 성능 저하 및 부식 · 진동, 충격 송배전 선로 중성점 접지 목적 · 1선 지락 고장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 상승 억제 · 기기의 절연 레벨 경감 · .. 2021. 1. 6. 전선로 내용 정리 1 / 2 전기기사 단답 공부는? https://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/ Pacho's Web 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 연가의 효과 · 선로정수의 평형 ·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 경감 · 소호리액터 접지 시 직렬공진에 의한 이상전압 상승 방지 · 각 상의 전압강하를 동일하게 한다. 코로나에 의한 장해 · 코로나 손실 · 코로나 잡음 · 전선부식 · 통신선 유도장해 코로나 방지 대책 · 북도체 사용 · 가선금구류 개선 · 굵은 전선의 사용 복도체 방식의 장점 · 송전용량의 증대 · 코로나 손실 감소 · 안정도 증대 · 선로의 인덕턴스 감소 및 정전용량 증가 복도체 방식의 단점 · 건설비 증가 ·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 · 단락 시 대.. 2021. 1. 6. 전동기 내용 정리 2 / 2 전기기사 단답 공부는? https://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/ Pacho's Web 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기동 되지 않는 원인 · 3선 중 1선이 단선이 된 경우 · 큰 접압강하로 인한 기동토크의 부족 · 기동기의 고장 · 결선의 오접속 결선 · 공극의 불균등 · 고정자 권선 내부의 오접속, 코일의 단선 및 소손 · 회전자 도체의 접속 불량 단상 유도 전동기 기동 방식 · 반발 기동형 · 분상 기동형 · 콘덴서 기동형 · 세이딩 코일형 분상 기동형 전동기 회전 방향 변경 방법 · 기동 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바꾸어 결선 단상 유도 전동기의 절연을 E종 절연물로 하였을 경우 최고 허용온도 · 120 [℃] 동력부하 설.. 2021. 1. 6. 전동기 내용 정리 1 / 2 전기기사 단답 공부는? https://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/ Pacho's Web 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 MCC 기기 구성 · 차단장치 · 기동장치 · 제어 및 보호장치 전동기 소손방지를 위한 과부하 보호장치의 종류 · 전동기용 퓨즈 · 열동계전기 ·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· 유도형 계전기 전동기용 과부하 보호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· 전동기 자체에 유효한 과부하 소손방지장치가 있는 경우 · 전동기의 출력이 0.2kW 이하일 경우 · 부하의 성질상 전동기가 과부하가 될 우려가 없을 때 · 공작기계용 전동기 또는 호이스트 등과 같이 취급자가 상주하여 운전할 경우 · 단상 전동기로 15[A] 분기회로(배전용 차단기는 20.. 2021. 1. 6.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