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기사 단답 공부는?
https://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/
Pacho's Web
fancy-malabi-31916e.netlify.app
연가의 효과
· 선로정수의 평형
·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 경감
· 소호리액터 접지 시 직렬공진에 의한 이상전압 상승 방지
· 각 상의 전압강하를 동일하게 한다.
코로나에 의한 장해
· 코로나 손실
· 코로나 잡음
· 전선부식
· 통신선 유도장해
코로나 방지 대책
· 북도체 사용
· 가선금구류 개선
· 굵은 전선의 사용
복도체 방식의 장점
· 송전용량의 증대
· 코로나 손실 감소
· 안정도 증대
· 선로의 인덕턴스 감소 및 정전용량 증가
복도체 방식의 단점
· 건설비 증가
·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
· 단락 시 대전류 등이 흐를 때 소도체 사이 흡인력 발생
· 페란티 현상에 의한 수전단 전압 상승
승압효과 장점
· 전력손실이 75% 경감
· 전압강하율 및 전압변동률이 75% 경감
· 공급전력이 4배 증대
승압효과 단점
· 변압기, 차단기 등의 절연레벨이 높아지므로 기기가 비쌈
· 전선로, 애자 등의 절연레벨이 높아지므로 건설비가 비쌈
배전선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
· 자동전압 조정기(SVR, IR)
· 고정 승압기
· 병렬 콘덴서
· 직렬 콘덴서
직렬 콘덴서 사용 목적
· 직렬 콘덴서는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를 보상함으로써 선로의 전압강하를 감소하고 계통의 안정도를 증대
플리커 현상 경감대책
· 전원측: 전용계통으로 공급, 공급 전압을 승압,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
· 수용가측: 직렬 콘덴서 설치, 부스터 설치, 직렬 리액터 설치
배전계통에서 플리커 발생 부하가 증설될 경우 이를 미리 예측하고 경감을 위하여 수용가 측에서 행하는 방법 중 전원계통에 리액터분을 보상하는 방법
· 직렬 콘덴서 방식, 3권선 보상 변압기 방식
단락용량의 경감 대책
· 고 임피던스 기기를 채택
· 모선계통을 분리 운용
· 한류 리액터를 설치
2중 모선의 장점
· 모선 점검 시에도 부하의 운전을 무정전 상태로 할 수 있어 전원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.
무한대 모선
· 내부 임피던스가 0이고 전압은 그 크기와 위상이 부하의 증감에 관계없이 전혀 변화하지 않고, 또 극히 큰 관성정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는 용량 무한대의 전원
스폿 네트워크방식(spot Network)
· 배전용 변전소로부터 2회선 이상의 배전선으로 수전하는 방식으로 배전선 1회선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일지라도 다른 건전한 회선으로부터 수전할 수 있는 무정전 방식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은 방식
스폿 네트워크방식 장점
· 무정전 전력공급이 가능
· 공급신뢰도가 높음
· 전압 변동률이 낮음
· 부하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좋음
전류차동 계전방식
· 각 모선에 설치된 CT의 2차측 회로를 차동접속하고 거기에 과전류계전기를 설치한 것으로서, 모선내 고장에서는 모선에 유입하는 전류의 총계와 유출하는 전류의 총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이용하여 고장 검출을 하는 방식
전압차동 계전방식
· 각 모선에 설치된 CT의 2차 회로를 차동 접속하고 거기에 임피던스가 큰 전압계전기를 설치한 것으로서, 모선 내 고장에서는 계전기에 큰 전압이 인가되어서 동작하는 방식
위상비교 계전방식
· 모선에 접속된 각 회선의 전류위상을 비교함으로써 모선 내 고장인지 외부 고장인지를 판별하는 방식
방향비교 계전방식
· 모선에 접속된 각 회선에 전력 방향계전기 또는 거리 방향계전기를 설치하여 모선으로부터 유출하는 고장전류가 없는데 어느 회선으로부터 모선 방향으로 고장 전류의 유입이 있는지 파악하여 모선 내 고장인지 외부 고장인지를 판별하는 방식
'자격증 기출 톺아보기 > 전기(공사)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접지 내용 정리 1 / 3 (0) | 2021.01.06 |
---|---|
전선로 내용 정리 2 / 2 (0) | 2021.01.06 |
전동기 내용 정리 2 / 2 (0) | 2021.01.06 |
전동기 내용 정리 1 / 2 (0) | 2021.01.06 |
전기공사 내용 정리 2 / 2 (0) | 2021.01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