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차, 2차 양 회로에 공통된 권선부분을 가진 변압기로 기동보상기 계통의 연계 등에 사용
주로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, 초고압 전력용 변압기 등에 사용된다.
장점
- 여자전류가 작다
- 가격이 저렴하고 소형
- 효율이 좋다
- 전압변동율이 적다
- %Z가 10%일 때 극히 소형이 된다.
단점
- 1차, 2차 회로가 전기적으로 완전히 절연되어 있지 않다.
- 단락젼류가 크게 되므로 열적, 기계적 강도가 커야된다.
- 1, 2차가 직접계통이어야 한다.
- 충격전압은 거의 직렬권선에 가해지며 이에 적절한 절연설계가 필요하다.
용량
- 자가용량 = I₂· (V₂- V₁) = k·선로용량
- 선로용량 = I₁· V₁ = I₂·V₂= 자기용량 / k
- k = (고압측 전압-저압측 전압) / 고압측 전압 = 직렬권선전압 / (직렬권선전압 + 분로권선 전압)
반응형
'자격증 기출 톺아보기 > 전기(공사)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2회차 공사기사 필기 기출 1과목 (0) | 2022.08.19 |
---|---|
피뢰기 특징 (0) | 2022.07.19 |
22년 1회 전기기사 실기 개인적인 추가 개념 (0) | 2022.06.18 |
감리 내용 정리 1 / 1 (0) | 2021.01.06 |
태양광 등 기타 내용 정리 1 / 1 (0) | 2021.01.06 |